반응형
한국사회는 근본적인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살아남기 위해서 외부 유입에 의한 재설계에 돌입했습니다. 멀지 않은 미래에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인이 될 것이며, 그들의 아이들이 한국을 이끌게 될 것입니다. 저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관해서 특별히 부정적이지는 않습니다. 지금의 한국인들도 외부에서 유입된 사람들의 후손들이 많으며 그러한 이동을 특별하다고 말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갈등의 뿌리가 되는 원인에 관한 문제를 인식조차 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것 같습니다. 공정하지 못한 전통, 언젠가 터져버리는 시한폭탄 한반도 사람들은 여러 전쟁으로 약해진 이후부터는 가문 중심보다는 마을 단위의 공동 육아를 통해서 살아남았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자연스럽게 나름의 질서를 만들었으며, 그 질서가 행복의..
성인지 교육은 사회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능력이 부족하지 않은데 돈을 덜 받는 차별적 대우를 받았다는 개념에서 출발했습니다. 여성과 남성의 능력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없다는 점을 한국사회에 적용하는 과정을 성 평등이 자리를 잡아가는 과정으로 보는 관점이 지배적이었다는 것입니다. 이를테면 여자여서 혹은 남자여서 그럴 수 있다는 발언 자체가 차별의 소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방식은 지금 10대의 성에 관한 개념을 바꿔놓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세대차이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포스팅을 적어두고 있습니다. 아마도 30대 이상의 분들이라면 성별에 관계없이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싶을 것입니다. 근본적으로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 우월하다는 개념 10대 남자아이들 사이에서 여자가 남자에 비해서 ..
요즘 아이돌을 목표로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이돌 강국 답게 오프라인에서 큰 회사에 데뷔하는 방식의 아이돌을 원하는 분들도 많이 있지만 온라인에서 높은 인지도를 얻기 위한 노력을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일단 유명해지면 광고 수입이 많이 따라오기 때문에 더더욱 이러한 시도를 하는 분들은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이돌처럼 사는 사람들이 전략으로 호감도를 어떻게 올리는지를 관찰한 결과입니다. 우상을 만드는 주관적인 심리 산업 아이돌은 말그대로 우상입니다. 우상이란 특별하지 못한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일반인이 경험하지 못하는 감각적 만족을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이런 부류의 사람들을 셀럽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만 아이돌의 일종이라고 이해해도 될 것이라고 생각..
극심한 스트레스는 면역력 감소로 이어져서 질병이 발생되는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할 뿐이라, 하려는 일도 잘 되지 않아서 능률의 하락으로 인해서 가난한 삶을 살아가게 만들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현실적인 노력의 방향성에 관한 이야기를 적어두려고 합니다. 인간관계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좋은 방법 1. 상대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기 세상에는 정말로 사악한 사람도 있지만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오해를 받고 있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을 잘 이해하기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때문에 MBTI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에 관해서는 유명한 유튜브 채널이 있어서 참고를 하신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링크) https://www.yout..
코인노래방 같은 곳을 꾸준하게 다니면서 노래를 부르는 분들이 많이 계실 것입니다. 노래방인기차트는 많이 부르는 노래를 기준으로 순위가 정리되는 구조여서 한국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노래의 가사에 공감하지 못하고 멜로디가 부정적으로 다가오지 않기 때문에 자주 부르는 것이여서 조금 더 주의깊게 바라본다면 많은 사람들의 고민에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거의 사랑을 후회하는 사람들 많은 사람들이 나이를 먹고 과거의 진짜 사랑을 외면한 것에 관해서 후회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언젠가 더 좋은 사람을 만나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나이를 먹었지만, 알고보니 운명의 짝은 옛날에 지나갔다는 아쉬움이 마음 속에 머물고 있는 것입니다. 당연하게 생각했던 과거에 받았던 배려들이 당연한 것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 민감한 주제에 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토요코키즈가 한국에 넘어왔다는 경의선 키즈 문제와 특유의 문화들에 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이 문제의 핵심에 관해서 잘 다뤄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단지 일탈의 문제가 아니라 범죄를 저질러도 별다른 문제가 없는 '가정' 영역을 들춰내는 것이 국가적으로 손해가 될 것을 우려하고 있는 이해관계에 관한 문제입니다. 특히 부모가 자식을 죽이더라도 적당한 처벌과 심리 치료를 통해서 '불쌍한 사람'으로 치부되는 사회 현상은 한국 사회에서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를 잡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넓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인격적으로 묵살당하고 죽고 싶지 않은 자녀세대의 하소연을 단순한 일탈로 몰고 가는 잔인한 모습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