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 ・2019. 1. 20.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와 연봉탐색기 (나의 연봉 순위 확인)

반응형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와 연봉탐색기 (나의 연봉 순위 확인)


몇일전 화제가 된 것이 바로 연봉탐색기 2019년 버전이었습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아직 올해가 가지 않았으니 작년인 2018 연봉을 기준으로 납세자 연맹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수익은 어느 정도인지 이야기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나의 연봉 순위를 대한민국에서 어디에 속하는지 궁금하신 분도 계실 것 같은데요. 연봉순위와 절세 비율 등을 알려주는 연봉 탐색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근로자 1688만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제인구는 2017년 기준(2018년 10월 정보)으로 2775만명, 2018년 기준으로 2,803만명이었습니다. 모든 소득수준을 비교한 것이 아니라 근로자 1688만명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연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근로자 중에서 정규직은 1,343만명, 비정규직은 661만명으로 비정규직는 일시적 또는 시간제, 비전형으로 비정기적인 유동적인 노동자를 말합니다.


아무래도 자영업자를 비롯한 연봉 받는 분이 아닌 경우는 속하지 않기 때문에 대한민국 소득 수준 평균은 다를 수 있습니다.





세금을 제외한 실수령액이 어느 정도인지, 내가 받는 연봉 평균인지 그 이상인지 이하인지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한국납세자연맹에서 제공하는 오차범위 최대 0.8%임으로 믿을만한 정보일 것입니다. 특히 한해 소비를 계획하면서 환급액과 세율 등을 미리 염두해두시는 것이 좋은데, 이 사이트를 한번 들러보신다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 http://www.koreatax.org/tax/taxpayers/salary4/salary.php


회원가입을 해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내 연봉 순위는? 탭에서 자신의 연봉을 입력하고 확인하기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중간 평균 연봉은 22,240,000원으로 연봉 2200만원이 중간값이었습니다. 연봉 3500, 연봉 4000, 5천만원, 1억원 등 입력해보면 상위 몇퍼센트에 속하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연봉이 4000만원 이상일 경우 근로자의 상위 20%~30% 이상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19 연봉 실수령액 계산기도 제공하고 있으며, 연봉탐색기에서 신용카드 공제와 카드공제를 최대로 받기 위한 자신의 지출액을 입력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맞벌이 부부라면 누가 얼만큼 사용해야 세금을 적게 내게 되는지, 혹은 환급 금액이 가능한지 여부도 고민이 되실 수 있는데요.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시스템 덕분에 연말 정산이 쉬워지기는 했지만 이러한 사이트에서 예상 시뮬레이션을 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2019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은 이전글을 참고하시면 좀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글☞ 실수령액 계산기 연봉 계산해보는 방법


연령별 중위소득과 평균 소득도 궁금하신 분이 계실 것 같은데요. 예전 기사에 따르면 20대 평균 연봉은 215만원, 중위소득은 190만원이었으며, 30대 평균 연봉은 319만원, 중위 소득은 276만원, 40대 평균 연봉은 383만원, 중위 소득은 300만원, 50대 평균소득은 386만원, 중위소득은 250만원, 60세 이상 평균소득은 256만원, 중위소득이 250만원이었습니다. 전체 연령 평균으로 보면 20대 평균 소득이 가장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조사결과는 2015년 통계청 기준이기 때문에 현재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초봉이 높은 직업은 변호사, 의사와 같은 전문직이 월 3~5백만원이었으며 그 밖에 환경미화원, 대기업 대학병원 간호사, 경찰공무원 외근직, 대기업 직장인, 생산직 라인, 초등학교 중학교 교사, 헬스 트레이너, 헤어 디자이너, 은행원, 물리치료사, 중견기업 사무직, 건축계열 사무직, 백화점 화장품 판매직, 휴대폰 판매직, 일반 병원 간호사, 유아교육 교사 순으로 초봉이 높았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상여금이나 인센티브가 포함이되는데 통계에서는 비포함이기 때문에 실수령액은 대기업 신입사원이 더 순위가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