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2016. 3. 4.

학습의욕이 없는 아이 어떻게 학습목표를 설정할까

학습의욕이 없는 아이 어떻게 학습목표를 설정할까


효과적인 공부방법은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목표의식을 가지고 공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학습을 자기주도학습이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주도학습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은 알고는 있지만 이를 적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미 학습의욕이 없고 관심이 없는 아이라면 어떻게 해야 좋을지 막막하기만 할뿐입니다.



어릴 때부터 영어 교육은 필수다, 수학은 점점 어려워지기 때문에 꾸준히 해야한다. 책읽기를 꾸준히 해야한다라 등등 학부모라면 공부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초등학생 아이들에겐 크게 와닿지 않기 때문에 잔소리로만 들리고 오히려 공부에 질리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합니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어떻게 공부하는지가 아니라 왜 공부를 해야하는지 그 목적에 대하여 아이들이 생각을 할 수 있는 시간과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대학생활 뿐 아니라 대학졸업 후의 일도 누군가가 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스스로 정하는 일이기 때문에 단순히 학업능력 향상만을 염두하기보다는 전반적인 습관을 잡는 것이 가장 급선무입니다.



의욕이 없는 아이 학습의욕을 강요하기 보다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먼저 키워야합니다.


아이러니하게 들릴 수 있지만 공부만을 목표로 삼거나 대학만을 목표로 삼는다면 실제로 성취한 이후에 더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잃게 되고 방황하게 됩니다. 또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조차도 불명확한 경우도 있습니다.



공부는 싫지만 다른 것은 좋다라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라 아예 의욕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요. 학원과 학교 생활을 반복하면서 자신만의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하는 것이 초등학교 시기에 가장 필요한 부분입니다. 여러 가지를 경험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며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지 스스로 생각하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과 못하는 것이 무엇인지 많은 경험과 도전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억지로 강요하기보다는 스스로 공부할 때까지 기다리기

2. 잔소리보다는 잘하는 것을 칭찬하기

3. 아이의 생각을 존중하기

4. 나는 바뀌지 않지만 아이가 바뀌기를 생각하기보다는 부모가 먼저 바뀌어야 아이도 바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