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2015. 12. 19.

겨울철 차량관리 요령 기억해두세요

반응형

겨울철 차량관리 어떻게 해야할까


겨울이 되면 자동차도 주변 온도 변화에 맞추어 준비가 필요합니다. 자동차가 추위에도 문제가 없도록 운전할 수 있는 겨울철 차령관리 요령과 미끄러운 눈길운전을 조심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etc-image-0





배터리를 확인하기


겨울철에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차가 크고, 온도가 낮아지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가 되는 가운데 히터를 자주 켜야 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되어 방전이 되기 쉽습니다.


etc-image-1



시동이 갑자기 걸리지 않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점검을 미리 해두시는 것이 좋은데요. 배터리는 3년에서 5년마다 교체주기가 오기 때문에 교체시기가 온다면 점검 후 변경하거나 배터리 충전에 유의하고 가급적 실외보다는 실내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히터사용의 유의점


겨울철 차량관리에 있어서 자주 사용하는 것이 히터입니다. 히터 필터 청소를 해주셔야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etc-image-2



배터리가 어느 정도 충전이 된 후에 히터를 키는 것이 좋기 때문에 히터를 시동을 걸고 바로 키는 것이 아니라 낮은 온도로 히터를 키다가 엔진온도계가 1/4정도 올라왔을 때 히터를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etc-image-3



엔진과 배터리에 먼저 에너지가 공급이 된 후 히터를 키는 것이 빠르게 열 손실도 적고 빠르게 차를 따뜻하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히터를 작동하였을 때 냄새가 난다면 부동액이 새고 있는 것일 수 있으니 점검이 필요합니다.





차 유리에 생긴 얼음제거 팁

눈이 오거나 온도차로 인해 차 유리에 성에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뜨거운 물을 부워 녹이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온도변화는 오히려 유리에 충격을 주어 금이 가게 됩니다.


etc-image-4



워셔액도 추운 상황에서 뿌린다고 하더라도 너무 추운 날에는 워셔액 자체가 얼게 되어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요. 차 유리에 뭔가 씌워서 예방하는 것이 좋고 히터를 성에제거 모드로 틀어 녹이는 방법이 있지만 시간이 오래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물과 알콜을 1:2 비율로 섞고 주방세제를 한스푼 넣은 용액을 뿌리는 방법입니다. 주방세제를 너무 많이 넣게 되면 자동차 표면에 있는 고유의 기름성분을 없애어 긁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만 넣으셔야 합니다.





타이어 관리로 눈길운전을 대비하기

겨울철에는 길이 꽁꽁얼어 있어 미끄러운 경우가 있습니다. 기온이 7℃ 미만일 때 사용하는 겨울용 타이어를 사용하셔야 결빙되어 미끄러운 도로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스노우 타이어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수막현상을 최소화하고, 견인력을 향상하여 스핀현상을 최소화합니다.


etc-image-5


겨울철 차량관리 요령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는데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그에 맞추어 자동차 관리를 해주신다면 안전운전하고 오래도록 차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etc-image-6



특히 겨울철은 빙판길에도 대비해야하기 때문에 타이어체인이나 스프레이 체인과 같은 장비도 미리 갖추어주시는 것도 겨울철 차량관리법으로써 잊지 말아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