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2017. 10. 26.

아프리카TV 주식 국정감사 이후 하락한 이유

아프리카TV 주식 국정감사 이후 하락한 이유


1인 미디어의 시대라고 불리는 현재 아프리카TV는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개인 방송 포맷입니다. 국정감사에서 아프리카TV의 별풍선 제도가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방송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하루 결제 한도가 3천만원인데요. 이 금액을 한번에 쏘는 사람도 있다보니, 별풍선을 얻기 위해서 자극적인 행동을 한다라는 점을 지적하였습니다.


아프리카TV측에서는 관련 법안이 마련되면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라는 입장인데요. 인터넷 방송에 대한 규제 법안을 제출하게 될 가능성도 있고, 규제가 없더라도 컨텐츠 제제에 대한 조치에 대한 불안함이 아프리카TV 주식에 반영되었습니다.



▲ 아프리카TV 주식 (출처: 인벤)


별풍선처럼 직접 방송인에게 돈을 후원하는 제도를 지닌 개인방송 포맷으로 유튜브와 트위치가 있습니다. 3곳 모두 구독, 후원, 광고 시청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입니다. 스마트폰으로만 볼 수 있는 카카오TV도 요즘 떠오르는 인터넷 방송 포맷입니다.



만약 인터넷방송 관련 법안이 마련된다면 후원금 상한액이 있을 수도 있고 미성년자 결제 한도 제한 등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유튜브의 경우 슈퍼챗이라는 별풍선과 비슷한 제도가 있는데요. 슈퍼챗의 한도는 50만원입니다.



다만 이러한 아프리카TV 별풍선 한도 조정만으로 자극적인 컨텐츠가 줄어들지에 대해선 의문이 있습니다. 오히려 수익이 줄어들어서 더 자극적인 방송을 늘려나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과한 과금은 제제할 필요가 있겠지만 수익금만 제제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닐 것입니다.



어느 의원은 3진아웃제같이 제제 후 영구적으로 퇴출하는 방식도 고려해야하지 않나라는 언급도 있었습니다. 유해매체로 지정해야한다라는 언급도 있었습니다.


1인 미디어 시대는 한국만 있는 현상이 아닌, 해외에서도 현재 영향력이 막강합니다. 방송 가이드 라인이 어느 정도 있어야하겠지만 방송 자체를 유해매체로 지정하는 것은 게임을 마약이라고 분류하여 한국 게임업계에 타격을 주고, 이로 인해 오히려 4차 산업에 해당하는 게임(컨텐츠) 시장을 후퇴시킨 일처럼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도 됩니다.


유해성의 기준은 무엇인지, 검열과 제제가 세계적인 수준과 비교하여 단순한 방송제제일 경우 문제가 발생하지 않길 바랍니다.



아프리카TV 별풍선 제도와 타 포맷 비교


별풍선처럼 후원금을 보낼 수 있는 방송 미디어 4곳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유튜브는 동영상 사이트이면서도 스트리밍 사이트입니다. 유튜브는 수익창출을 위해서 모든 채널의 조회수가 1만회 이상이어야 합니다. 후원금의 이름은 슈퍼챗으로 슈퍼챗 1개당 1천원이며 수수료는 공개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트위치TV는 아마존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방송채널로, 주로 게임방송이 위주가 되고 있습니다. 트위치TV의 후원금 이름은 '캐시'이며, 1개당 110원입니다. 수수료는 1%만 가져가고 있습니다.



아프리카TV는 게임, 먹방 등 다양한 컨텐츠 BJ가 있는 국내 1인 미디어의 시초나 다름없습니다. 별풍선 1개는 110원으로 등급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파트너BJ 20%, 베스트BJ 30%, 일반BJ 40%로 수수료를 가져갑니다.



카카오TV의 후원금이름은 '쿠키'입니다. 아프리카TV처럼 등급제로 운영이 되는데요. PD 등급은 30%, 루키PD 등급은 20%, 프로PD 등급은 15%, 스타PD의 경우 10%의 수수료를 가져갑니다.


이러한 등급은 조회수나 기여도에 따른 등급일 것입니다. 아프리카TV와 유튜브는 이러한 수수료 외에도 광고 분배에 대한 것도 차이가 있습니다.



유튜브는 동영상 사이트로 출발하여서 다시보기가 무료이지만, 아프리카TV는 7일간 유지 후 삭제가 되고 과금을 해야 무제한 유지가 가능합니다. 광고 수익의 경우 아프리카TV는 회사가 모든 수익을 가져가며 유튜브는 45:55로 분배합니다.


아프리카TV는 화질, 상단노출, 시청인원에 따른 과금도 있기 때문에 유지 비용이 있는 편입니다. 다만 인지도나 꾸준한 시청자가 있다는 점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유지하는 경우도 있고, 유튜브나 트위치, 카카오TV로 이동하는 BJ도 있습니다.